요즘 티스토리 블로그가 핫 한데요.
전화번호 인증절차 없이 기존에 구글계정만으로 다른 계정을 추가할 수 있어, 개인정보나 보안적인 측면에서
유용한 방법입니다.
여기서 주의할 부분은 pc에서는 반드시 전화번호 인증을 해야 하기 때문에
구글 계정 추가할 때 반드시 모바일 환경에서만 해야 합니다.
그럼 모바일에서 구글의 다른 계정 추가하고 그 계정으로
새로운 카카오 계정을 만들고, 그 카카오 계정으로 티스토리 블로그 만들고 세팅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먼저 기존에 구글계정으로 로그인이 되어있어야 그 계정으로 다른 계정 추가를 할 수 있습니다.
아래 첨부한 사진은 제가 직접 그대로 진행한 겁니다.
순서대로 따라 하시면 별 문제는 없을 겁니다.
그럼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계정 추가
기존구글계정에서 다른 계정추가를 클릭해 주세요.
맨 위에 Google를 선택해 주세요
이메일 또는 휴대전화란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마시고 다음버튼 누르시면 안 되고. 계정 만들기를 클릭해 주셔야 합니다.
여기서도 이메일 또는 휴대전화란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마시고 다음버튼 누르시면 안 되고. 본인 계정을 클릭해주세요.
Google 계정 만들기 에서 성 이름은 아무 이름이나 쓰시면 됩니다.
Google 기본 정보에서 연도 월 일 성별을 입력해주시고 다음버튼 클릭합니다.
Gmail 주소 선택에서 자동으로 2개가 생성되었고, 내 Gmail 주소 만들기가 있는데요.
여기서 아무거나 선택해주시고 다음 버튼 클릭합니다.
저는 빨간 내 모박스 안에 자동으로 생성된 이메일 주소를 선택했습니다.
안전한 비밀번호 만들기에 비밀번호 넣어 주시고요.
여기서 보시는 봐와 같이 전화번호 추가하시겠습니까?라고 했지 전화번호 입력하라고 하지 않았습니다.
아래로 주욱 내려주시면 맨 아래 건너뛰기 클릭해 주세요. 예 버튼은 누르시면 안 됩니다.
다음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아래에 체크박스 두 개 모두 체크해주시고 계정 만들기 클릭해 주세요.
여기까지 전화번호 인증 없이 스마트폰으로 구글 계정 만들기는 끝났습니다.
새로운 카카오 계정 만들기
이제부터는 모바일에서 새로 만든 구글 계정으로 전화번호 없이 gmail 주소만으로
pc에서 카카오 계정을 만들어보겠습니다.
다음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우측 카카오계정으로 로그인 바로 아래 회원가입 클릭해 주세요.
카카오계정으로 로그인 아래 새로운 카카오계정 만들기 클릭해 주세요.
이메일이 있습니다 클릭해 주시고 좀 전에 만들었던 gmail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선택사항만 체크 해제 해주시고 동의 클릭해 주세요.
카카오계정으로 사용할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 주시고 인증요청 클릭해 주세요.
스마트폰에서 인증번호 확인 하시고
스마트폰에 나타난 인증번호를 pc에서 입력하시고 다음 버튼 클릭합니다.
카카오계정 로그인에 사용할 비밀번호를 등록해주시고 다음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여기서 사용할 비밀번호는 카카오에서 사용할 비밀번호입니다. 즉, 티스토리블로그 시작 할 때 사용할 비밀번호입니다.
비밀번호는 구글계정 비밀번호를 동일하게 하셔도 됩니다.
카카오계정 닉네임은 아무거나 입력해주시고 확인 버튼 클릭해 주세요. 그렇게 중요한 거 아닙니다.
시작하기 버튼 클릭하세요.
여기까지 구글 Gmail 계정으로 카카오 계정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다음은 카카오계정으로 티스토리 블로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만들기
좌측 로그아웃 바로 아래 티스토리로 들어갑니다.
시작하기 들어갑니다.
카카오계정 로그인으로 들어갑니다.
약관에 체크해주시고 다음 눌러주세요.
블로그 이름, 주소, 닉네임은 카카오 계정, 닉네임 하고 다르다는 것을 염두해 주시기 바랍니다.
여기서는 아무거나 적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로봇이 아닙니다에 체크해주시고 다음 버튼 눌러주세요.
해당사항 체크해주시고 다음 버튼 눌러주세요
로봇이 아닙니다에 체크해주시고 다음 버튼 눌러주세요.
스킨설정 우측에 빨간 박스 눌러오 오른쪽으로 이동해 주세요.
우측으로 가시다가 Book Club에 체크하고 스킨적용을 눌러주세요.
블로그 시작하기 눌러주시면 이제 블로그가 만들어진 겁니다.
여기까지 따라오셨으면 수고하셨습니다.
첫 화면이 뜨네요.
블로그를 만들었다면 내 블로그를 구글이나 네이버에 검색엔진에 색인을 시켜줘야 합니다.
색인을 시켜주기 위해서는 구글 서치콘솔과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등록을 해야 합니다.
댓글